본문 바로가기
주저리주저리

종이빨대가 뭐길래..플라스틱 대체품 될까?

by 하우_HOWE 2023. 2. 17.
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카페에서도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 금지 및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환경보호 차원에서 바람직한 변화라고 생각되지만 아직까지도 사람들은 종이 빨대 이용에 있어 다소 불편함을 느끼는 듯하다.

그렇다면 종이 빨대는 기존 플라스틱 빨대와 무엇이 다를까?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왜 이제야 종이 빨대 도입이 이루어진 걸까?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가 재작년인지 작년부터 7월부터 시범 운영했던 종이 빨대가 드디어 전국 매장에 도입되었다.

물론 처음에는 낯설고 불편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친환경 소재인 만큼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된다.

따라서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매립지에 묻히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히 분해된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 역시 매우 간단하다. 펄프와 물, 그리고 식용 접착제만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낮다.

 

반면 강도는 약하지만 쉽게 눅눅해지지 않고 음료 본연의 맛을 유지시켜준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미국 월마트나 영국 세인스버리 슈퍼마켓 등 세계 각국의 대형 유통 업체에선 이미 수년 전부터 종이 빨대를 사용해왔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늦게 도입된 이유는 뭘까?

아무래도 원가 절감이라는 경제 논리가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종이 빨대는 중국 공장에서 대량생산되는데 가격이 개당 6원 정도 밖에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라도 정부 주도로 관련 규제가 강화되었으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또 다른 형태의 플라스틱 대체재가 등장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머지않아 썩지 않는

비닐봉지나 스티로폼 박스 등이 새롭게 개발될지도 모른다.

 

부디 더 이상 지구가 아프지 않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 현명하게 대처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